

환자를 위한 정보
우리는 환자를 도와주는 일에 최선을 다합니다.
환자를 위한 정보
여러분이 보고 있는 이 정보는 심장 판막 교체 또는 복원 시술이 필요할 수 있는 환자를 위해 준비되었습니다. 이 내용은 환자와 환자 보호자에게 심장, 심장 판막의 기능, 심장 판막 질환의 진단 및 사용 가능한 다양한 치료 옵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줍니다.
참고로 이러한 정보는 인공 심장 판막 또는 심장 판막 복원 제품, 또는 관련 치료법에 대해 여러분이 알아야 할 모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아닙니다. 심장전문의에게서 반드시 정기적인 검진을 받아야 하며 건강 상태에 대해 의문점이나 우려가 있을 때, 특히 특이한 증상이 나타나거나 전반적인 건강 상태가 변할 경우 담당 의사에게 전화하거나 직접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심장은 가슴의 중앙에서 폐 사이에 위치한 근육 조직 장기입니다. 심장은 두 손을 서로 움켜쥔 크기와 비슷합니다. 심장은 신체의 모든 세포, 조직 및 장기에 혈액을 공급하는 정교한 펌프 역할을 합니다. 심장의 오른쪽은 폐를 통과하도록 혈액을 펌핑하며 폐에서 혈액은 산소를 공급받고 혈액의 이산화탄소는 제거됩니다. 심장의 왼쪽은 산소를 공급받은 혈액을 공급받고 신체의 모든 부위로 펌핑합니다.
심장의 내부
심장 내 공간 및 판막
심장에는 4개의 공간이 있습니다. 심장은 수축(혈액이 심장 밖으로 배출)과 이완(혈액이 심장 안으로 유입)을 통해 혈액을 펌핑합니다. 심장 윗부분에 있는 2개의 공간을 심방이라 부릅니다. 심방에서는 전신을 순환한 혈액이 정맥을 통해 유입됩니다. 2개의 심방은 약하게 수축하면서 혈액을 심실로 보냅니다. 심실은 심장 아랫부분에 있는 근육이 많이 발달한 공간입니다. 심실은 훨씬 강한 힘으로 수축하면서 동맥을 통해 혈액을 전신으로 내보냅니다. 우심실은 혈액을 펌핑하여 폐로 보냅니다. 심장에 있는 4개의 공간 중에서 좌심실이 가장 많은 일을 합니다. 좌심실의 강력한 수축으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전신의 모든 장기로 보냅니다.
심장에는 또한 4개의 판막이 있습니다. 판막은 혈액이 오직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합니다. 심장 판막은 적절한 시점에 열리면서 혈액을 앞쪽으로 배출시킨 후 다시 닫히면서 혈액이 역류되지 않도록 차단합니다. 승모판막과 삼첨판막은 심방에서 심실로 흐르는 혈류를 조절합니다. 대동맥판막과 폐동맥판막은 심실에서 배출되는 혈류를 조절합니다. 아래 그림은 심장 내 공간과 판막을 보여줍니다.
전신 혈액 순환
혈액은 산소와 영양분을 조직과 장기로 운반하고 노폐물을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인체에는 실제로 두 가지의 혈액 순환 경로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심장에서 폐로 순환하는 경로이며 폐에서 혈액은 산소를 공급받고 혈액 내 이산화탄소는 배출됩니다. 이산화탄소는 인체에서 산소를 사용하고 나서 생기는 부산물입니다. 두 번째는 혈액이 전신으로 순환하는 경로이며 이 과정에서 혈액 속 산소 및 기타 영양소가 신체 대사 중 생성된 이산화탄소 및 노폐물과 교환됩니다. 정맥은 심장으로 돌아오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입니다. 동맥은 심장에서 폐와 신체의 나머지 부분으로 방출되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입니다.
심장 근육, 심장 박동 주기 및 혈압
심장 근육(심근)은 심실에서 혈액을 박출(밀어냄)할 때 필요한 힘을 제공합니다. 심실은 수축하면서 판막을 통해 혈액을 대동맥(좌심실로부터) 또는 폐동맥(우심실로부터)으로 강하게 박출합니다. 이와 같은 심장 박동 주기의 단계(심실이 수축하면서 혈액이 심장에서 배출되는 단계)를 “수축기”라 부릅니다.
수축이 완료된 심실은 이완되면서 다음 차례에서 박출할 양의 혈액을 공급받습니다. 심실이 이완되면서 혈액이 심방에서 심실로 유입됩니다. 이와 같은 심장 박동 주기의 단계를 “이완기”라 부릅니다.


수축기와 이완기를 합쳐 심장 박동 주기라 부릅니다. 이와 같은 용어는 팔에 있는 동맥에서 혈압을 측정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혈압을 측정할 때 2개의 숫자를 표시하는데 이는 심장 박동 주기의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에 해당합니다. 예를 들어 혈압 측정값이 120/80인 경우 120은 좌심실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을 나타내는 수축기 혈압입니다. 80은 이완기 혈압으로서 좌심실이 이완되면서 혈액이 유입될 때의 압력입니다.
심장의 동맥
인체의 다른 장기나 근육과 마찬가지로 심장에도 영양분과 산소를 가진 혈액을 운반하는 동맥이 있습니다. 심장의 동맥을 관상 동맥이라 부릅니다. 관상 동맥은 우관상 동맥, 좌전하행 관상 동맥, 회선 관상 동맥 세 가지가 있습니다. 이러한 동맥이 콜레스테롤이 포함된 플라크의 축적에 의해 좁아지면 관상 동맥 질환에 걸리게 됩니다. 관상 동맥이 완전히 막히면 심장 근육의 일부에 혈액 공급이 차단되면서 심장 마비가 발생합니다. 심장 마비는 심장 근육에 손상을 주고 일부 근육 세포에 괴사가 일어납니다.
건강한 정상 심장 판막
인간의 심장 판막은 놀라운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심장 벽에 부착된 이러한 판막 조직(종이처럼 얇은 두께로 펄럭이는 조직 또는 첨판)은 매일 평생 동안 심장이 박동할 때마다 열리고 닫히면서 끊임없는 충격을 받게 됩니다. 매번 박동할 때마다 판막은 놀라운 힘과 유연성을 보여줍니다.
심장에는 4개의 판막이 있습니다. 이들 판막 중 2개는 방실(AV) 판막이라 부르며 이들은 심방에서 심실로 흐르는 혈류를 조절합니다. 심장의 오른쪽에 있는 AV 판막을 삼첨판막이라 부르는데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위치합니다. “삼첨판막”이라는 이름은 이 판막이 3개의 첨판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심장의 왼쪽 편에 있는 AV 판막은 승모판막이라 부릅니다. 승모판막은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서 흐르는 혈류를 조절하며 2개의 첨판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머지 2개의 심장 판막인 대동맥판막과 폐동맥판막은 각각 3개의 첨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판막들은 출구쪽 판막으로서 심실에서 배출되는 혈류를 조절합니다. 대동맥판막은 심장과 신체 나머지 부위 사이에 위치한 “관문” 역할을 합니다. 좌심실에서 박출되는 혈액은 모두 대동맥판막을 거쳐야 합니다. 대동맥판막은 좌심실과 상행 대동맥(대동맥 상부) 사이에 위치합니다. 폐동맥판막은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에 위치합니다. 승모판막과 삼첨판막은 대동맥판막이나 폐동맥판막보다 훨씬 더 큽니다.
아래 그림은 4개의 심장 판막의 모양과 위치를 보여줍니다. 특징적인 심장 박동 소리(“두-근”)는 심장 판막이 닫힐 때 나며 첫 번째 소리는 승모판막과 삼첨판막이 닫힐 때 나는 것이고 두 번째는 대동맥판막과 폐동맥판막이 닫힐 때 나는 소리입니다.
심장 판막의 기능
건강한 정상 판막은 폐색을 최소화하면서 혈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합니다. 또한 판막을 통해 혈액이 역방향으로 많이 흐르지 않도록 신속하게 완전히 닫힙니다(심장 판막을 가로질러 혈류가 역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역류”라고 함). 적은 양의 역류 또는 누출은 크게 문제되지는 않지만 많은 양의 역류는 항상 비정상적인 상태로 간주합니다.
심장 판막이 완전히 그리고 균일하게 열리면 판막을 통과하는 혈류도 원활하고 균일하게 흐릅니다. 판막이 완전히 또는 균일하게 열리지 않으면 판막을 통과하는 혈류도 불규칙해지고 난류가 발생합니다. 판막이 좁아지거나 완전히 열리지 않는 경우를 “협착”된 상태라 부릅니다.
역류(누출) 및 협착(좁아짐)은 모두 심장의 부하를 증가시킵니다.
판막 결함 및 진단
심장 판막이 좁아지면서(협착) 혈액 흐름을 차단하거나 누출(역류)로 인해 혈류가 심장쪽으로 역류하면서 기능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판막에 협착 및 역류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심장 판막 이상을 유발하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심장 판막 질환의 원인
퇴행성 판막 질환 – 판막 기능 이상의 흔한 원인입니다. 이는 주로 승모판막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승모판막 탈출증(부적절한 첨판 운동)에 의해 점진적으로 퇴행성 과정이 진행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판막 부착부가 얇아지거나 파열되어 첨판이 느슨해지면서 제 기능을 못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결국 판막을 통해 누출이 일어납니다.
노화로 인한 석회화 – 석회화는 심장 판막에 칼슘이 침착되는 것을 뜻합니다. 석회화는 대동맥판막에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칼슘이 침착되면 판막이 딱딱해지고 두꺼워지면서 대동맥판막이 좁아지는 대동맥 협착증을 유발합니다. 결과적으로 판막이 완전히 열리지 않으면서 혈류가 억제됩니다. 혈류 차단이 발생하면 심장은 더 강하게 박동해야 하기 때문에 가슴 통증, 운동 능력 감소, 숨가쁨, 실신 등을 포함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석회화는 연령 증가와 함께 일생에 걸쳐 심장 판막의 첨판에 칼슘이 침착되면서 나타납니다. 대동맥 협착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www.NewHeartValve.com 또는 www.webmd.com/heart-disease/tc/aortic-valve-stenosis-overview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상 동맥 질환 – 심장 마비가 발생하면 심장 근육에 손상이 일어나 승모판막의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승모판막은 좌심실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심장 마비 발생 후 좌심실이 비대해지면 승모판막이 늘어지면서 판막에서 누출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류마티스 열 – 한때는 심장 판막 질환의 흔한 원인이었던 류마티스 열은 이제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생합니다. 류마티스 열은 A형 연쇄상구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심장 및 심혈관계, 특히 판막의 첨판 조직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류마티스 열이 심장 판막에까지 영향을 줄 경우 판막에 협착, 역류 또는 두 가지 모두 발생할 수 있습니다. 흔히 류마티스 열이 발생하고 수십년이 지난 후 심장 판막 이상이 명백하게 나타납니다.
선천성 기형 – 선천성 심장 결함(출생 때부터 존재)은 심혈관계를 순환하는 혈액의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혈액은 심장 결함의 유형에 따라 비정상적인 패턴으로 잘못된 방향으로 흐를 수 있고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흐름이 차단될 수도 있습니다. 판막 기형과 같은 경도의 결함에서부터 심장 판막이 아예 존재하지 않을 정도로 매우 심각한 문제에 이르기까지 선천성 심장 기형은 특수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세균성 심내막염 - 세균성 심내막염은 심장 판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세균 감염으로서 판막의 첨판에 기형 및 손상을 유발합니다. 이는 주로 판막에 역류 또는 누출을 일으키며 승모판막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
판막 질환의 진단
환자는 심장 판막 문제 때문에 일차 진료의 또는 심장전문의(심장 분야를 전공한 의사)를 찾아가기 전에 이미 몇 가지 신체적 증상 또는 불편감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장 판막 질환의 몇 가지 신체적 증상에는 협심증(가슴 통증), 피로, 숨가쁨, 어지러움, 의식상실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심장 판막에 문제가 있어도 증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심장 판막의 문제는 종종 일상적인 검진에서 청진기를 사용하여 발견하기도 합니다. 심장 판막 이상은 협착 또는 역류에 상관없이 종종 심장 잡음을 발생시킵니다. 심장 잡음이 새롭게 나타났거나 크게 들리는 경우 담당 의사는 신속하게 추가적인 검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심장전문의와 외과의는 심장 판막 질환 진단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활용합니다. 가장 중요한 방법은 심장초음파검사입니다.
심장초음파검사
심장초음파검사는 초음파의 특수한 응용 분야로서 이를 통해 심장전문의는 심장 판막의 기능과 심장 근육의 수축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심장초음파검사에서는 초음파를 심장으로 보낸 후 반사되는 초음파를 트랜스듀서로 “포착”하고 컴퓨터에서 이 반사된 초음파를 영상으로 변환합니다. 대부분의 심장초음파검사는 초음파 프로브를 환자의 가슴에 대고 수행합니다. 이러한 방법을 “경흉부” 또는 “표면” 심장초음파검사라고 부릅니다. 이 검사는 비침습적이고 소요 시간도 몇 분에 불과합니다.
일부의 경우에는 경식도 심장초음파검사가 수행됩니다. 이와 같은 유형의 심장초음파검사에서는 초음파 프로브가 환자의 입을 통해 식도로 삽입됩니다. 식도는 심장의 뒷면과 매우 가깝기 때문에 이러한 유형의 심장초음파검사는 심장과 판막의 영상을 매우 선명하게 제공합니다.
카테터 삽입
심장 카테터 삽입(혈관조영술)은 관상 동맥과 심장 판막의 기능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심장 카테터 삽입은 튜브를 혈관 및/또는 심장으로 삽입하는 과정입니다. 이 튜브를 통해 조영제(염료)를 주입하고 X선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합니다. 관상 혈관조영술은 심장의 관상 혈관 분석에 특히 유용합니다. 대부분의 환자에게 심장 판막 수술을 받기 전에 관상 혈관조영술 또는 심장 카테터 삽입을 실시합니다. 이는 폐색된 관상 동맥이 있는 경우 수술 시 이를 치료할 필요가 있는지 결정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흉부 X선
흉부 X선은 심장에서 심장 판막 등의 부위에 칼슘 침착을 확인할 때 중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심장과 폐의 크기와 모양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환자는 심장 수술을 받기 전에 흉부 X선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심장 판막 질환은 몇 가지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의 예로는 1) 약물, 2) 수술적 판막 복원, 3) 수술적 판막 교체, 4) 경피적 심장 판막 교체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는 판막의 기능 부전을 치료할 수 없지만 많은 경우 증상을 완화시킬 수는 있습니다. 판막 복원 또는 교체가 필요한 경우 담당 심장전문의, 외과의, 심장 중재술 전문의가 환자와 함께 사용 가능한 옵션을 상의하게 됩니다. 판막 교체 또는 복원의 선택은 어느 판막에 문제가 발생했는지, 증상이 얼마나 심한지, 해당 판막 조직에 협착 또는 역류가 발생했는지 여부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심장 치료 전문팀
환자가 심장 판막 복원 또는 교체 시술을 받게 될 경우 시술 전, 시술 중, 시술 후 환자를 안전하게 불편함이 없도록 보살펴 줄 의료 전문가팀이 구성됩니다. 치료 과정에서 환자가 만나게 될 전문 의료인에 대한 정보가 아래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일차 진료의 - 환자가 가진 심장 질환의 증상 또는 심장 질환이나 결함을 일으킨 원인을 최초로 확인하게 되는 의사입니다. 이 의사는 진단을 확진하기 위해 특별 검사를 지시하거나 해당 전문의에게 환자를 의뢰할 수 있습니다.
심장전문의 - 심장 질환을 전공한 의사입니다. 심장전문의는 심장 수술을 직접 수행하지는 않지만 종종 심장 문제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진단 검사를 수행하며 심장 질환 치료를 위한 절차를 결정합니다. 심장전문의는 약물을 처방하거나 심혈관 전문 외과의에게 환자를 의뢰할 수도 있습니다.
심혈관 전문 외과의 - 질환이 발생한 심장 판막의 복원 또는 교체와 같은 심장 수술을 전공한 의사입니다. 이 외과의는 환자의 판막 질환에 대한 수술법과 삽입할 장치 선택 등 최선의 수술 시점 및 절차에 대한 의사 결정을 도와줍니다.
심장 중재술 전문의 - 심장 질환 치료를 위해 카테터를 활용한 시술에 대한 추가적인 전문 교육을 받은 의사입니다. 심장 중재술 전문의는 담당 외과의와 함께 경피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에 적합한 후보를 결정합니다.
마취전문의 — 마취전문의(의사) 또는 마취사(간호사)는 중재술 시행 시 진정 또는 전신 마취(수면) 유도를 위한 전문 교육을 받았습니다.
중환자 치료 의사 및 간호사 - 중환자 치료 또는 집중 치료실은 대부분의 중재술 이후 환자를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치료하는 병원의 특수 병실입니다. 중환자 치료팀의 의사와 간호사와 외과의 및/또는 심장전문의와 함께 집중 치료 기간 동안 환자 관리를 담당합니다.
심장 판막 질환에 대한 수술적 접근법
대부분의 심장 수술은 완전한 가슴뼈(흉골) 절개를 통해 수행됩니다. 이러한 방법을 정중흉골절개술이라고 부릅니다. 절개한 부위는 회복이 잘 되는 편이며 뼈가 완전히 접합되는 데 약 6주가 걸립니다.
해당되는 환자의 경우 심장 판막 수술은 최소한의 침습적인 방법으로 또는 더 작은 크기로 절개하여 수행할 수 있습니다. 작은 크기의 절개는 이러한 환자에게 몇 가지 혜택을 제공합니다. 관상동맥 혈관조영술, 심장초음파검사 및 많은 경우 흉부 CT(CAT) 스캔을 포함한 수술 전 검사는 어떤 환자가 최소한의 침습적 수술에 적합한지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러한 작은 크기의 절개를 통한 수술적 접근법도 완전 절개술에서와 마찬가지로 인공심폐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경피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TAVR): 심장 절개 수술 대비 침습도가 낮은 옵션
중증 대동맥 협착증 진단을 받은 환자와 심장 절개 수술 시 중간 또는 높은 수준의 위험도를 가진 환자의 경우, 또 다른 옵션인 경피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TAVR)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시술은 경피적 대동맥 판막 삽입술(TAVI)로도 부르며 심장 절개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침습도가 낮은 시술입니다.

침습도가 낮은 이러한 시술은 심장 절개 수술과 다릅니다. TAVR은 흉부를 절개하고 질환이 발생한 판막을 완전히 제거하는 대신 카테터를 사용하여 심장 판막을 교체합니다.
TAVR 시술은 여러 접근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데 가장 흔한 방법은 대퇴동맥을 경유한 접근법(다리의 절개 부위를 통해)입니다. 환자의 의학적 상태 및 기타 요인을 고려하여 심장 치료 전문팀만 어떤 접근법이 최선인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TAVR 및 이와 연관된 위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심장 치료 전문팀과 상의하십시오.
수술적 판막 교체
심혈관 전문 외과의가 환자의 심장 판막 교체를 선택한 경우 첫 번째 단계로 질환이 발생한 판막을 제거(판막과 칼슘 침착 부위 절제)하고 그 다음 제거된 위치에 인공 심장 판막을 삽입합니다. 질환이 발생한 기존 판막 교체에 사용하는 인공 판막은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크기도 다양합니다.
질환이 발생한 판막 교체에 사용되는 인공 심장 판막은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 주로 동물 조직(소의 심낭(심장을 둘러싼 질긴 주머니), 돼지의 대동맥판막 또는 시체에서 얻은 인간의 심장 판막 등)으로 만들어진 생체인공 판막 또는 조직 판막
- 탄소가 주성분인 합성 소재로 만들어진 기계 판막
조직 판막(생체인공 판막)
조직 판막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가 있습니다.
- 이종이식편 - 의료 등급 동물(소 또는 돼지)에서 채취한 판막 또는 심낭 조직
- 동종이식편 - 시체에서 얻은 인간 판막
- 자가이식편 – 한 환자에서 질환이 발생한 판막을 교체하기 위해 심장의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식된 정상 판막(대동맥판막 교체를 위해 사용되는 폐동맥판막에 국한됨)
이종이식편은 동물 조직으로 만들어진 생체 판막입니다. 예를 들어 심낭 판막은 원래 소의 심낭(심장을 둘러싼 주머니)에서 만들어진 첨판을 포함하며 유연성 또는 반유연성 프레임에 봉합됩니다. 조직 판막의 또 다른 유형은 돼지 판막입니다. 돼지 판막은 돼지 심장의 대동맥판막으로 만들어지고 이를 유연성 또는 반유연성 프레임에 봉합하면 “스텐트형” 판막이 되며, 또 다른 형태로 돼지 대동맥 근부를 그대로 두어 프레임 기능을 하도록 한 “비스텐트형” 판막도 있습니다.
각각의 판막은 천 봉합 링으로 둘러쌉니다. 이 봉합 링을 통해 판막이 심장에 봉합되어 고정됩니다.
기계 판막
기계 판막은 특수한 유형의 탄소 소재로 만들어진 첨판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판막에는 주로 두 개의 첨판이 있습니다. 이 첨판은 심장 박동 주기 동안 열리고 닫히면서 한 방향으로만 혈류가 흐르도록 합니다.
심장 판막의 선택 및 기준
기계 판막 또는 조직 판막의 선택은 환자 개인별로 각 판막의 혜택과 위험, 생활 습관, 연령, 의학적 상태 등을 평가하여 이루어집니다.
조직 판막은 장기간 항응고제(혈액 희석제)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는 과거 대출혈(위장관 또는 비뇨생식기 출혈 등) 병력을 가지고 있거나 여가 활동, 스포츠 또는 고령과 연관된 외상 및 출혈 위험성 증가로 인해 혈액 희석제를 복용할 수 없는 환자에게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조직 판막은 일반적으로 최소한 10년 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일부 환자는 30년 이상 사용한 경우도 있습니다. 60세 미만의 환자에게 조직 판막을 삽입한 경우 이 환자는 미래의 어느 시점에 또 한 번의 판막 교체 시술이 필요할 확률이 매우 높은 반면, 70세 이상인 환자 대부분은 추가 시술이 필요할 확률이 매우 낮습니다.
기계 판막은 마모가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판막은 매일 혈액 희석제 투여가 필요하며 이 약물을 투여하게 되면 식습관 또는 활동 수준의 변화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조직 판막 교체 또는 기계 판막 교체 중에서 결정은 주로 환자의 연령과 관련하여 내려지며 연령이 높을수록 조직 판막으로 교체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하지만 조직 판막이 기계 판막보다 더 낫다고 할 수 있는 명백한 연령 기준에 대해 확정된 근거는 없습니다.
판막 복원
가능한 경우 일반적으로 환자의 판막을 인공 장치로 교체하는 것보다 복원하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판막 복원은 주로 외과의가 승모판막 또는 삼첨판막의 조직 또는 이를 지지하는 구조를 교정하는 시술을 통해 수행됩니다.
거의 모든 판막 복원에서 고리성형술용 링 또는 밴드를 삽입합니다. 이러한 링 또는 밴드는 천으로 씌운 장치로서 승모판막 또는 삼첨판막의 둘레(고리) 부위에 삽입됩니다. 삽입된 링 또는 밴드는 환자 자신의 판막을 지지해 주고 판막의 첨판들이 서로 더 가깝게 접촉하도록 하여 혈액이 판막을 통과할 때 누출될 가능성을 줄여줍니다. 고리성형술 장치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담당 외과의가 환자의 심장 판막에 가장 적합한 장치를 선택할 것입니다.
고리성형술 외에도 승모판막 복원을 위해 첨판 자체 또는 판막의 첨판을 심장에 부착하는 끈에 발생한 문제의 교정도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승모판막 탈출증으로 인해 승모판막에 누출이 생기면 첨판과 끈의 교정(및 고리성형술 링 또는 밴드의 추가)을 통해 정상적인 판막 기능을 복원할 수 있습니다.
심장 판막 시술 후 관리
표준 심장 판막 시술 후 일반적인 회복 기간은 4주 ~ 8주입니다. 최소 침습 시술 및 경피적 시술과 같이 작은 절개 부위를 통해 시술한 경우에는 회복이 더 빠를 수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환자는 서서히 기운을 회복하면서 일상적 활동을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심장전문의에게서 반드시 정기적인 검진을 받아야 하며 건강 상태에 대해 의문점이나 우려가 있을 때, 특히 특이한 증상이 나타나거나 전반적인 건강 상태가 변할 경우 담당 의사에게 전화하거나 직접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생활 및 운동 – 회복과 전반적인 건강 상태 유지를 위해 추가적으로 중요한 두 가지 점은 건강한 식생활과 규칙적인 운동을 지속하는 것입니다. 담당 의사가 특별 식단을 권장하면 이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식생활은 건강한 삶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회복 중 영양이 풍부한 식품을 많이 섭취할수록 더 많은 기운을 얻고 더 빠르게 회복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식생활, 정성을 담은 간편 요리, 외식, 심장 건강에 도움이 되는 장보기 및 조리법 등을 포함하여 심장 건강을 위한 식생활 관련 자세한 정보는 www.heart.org/nutrition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인 심혈관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식단과 함께 운동과 체중 조절에 대한 담당 의사의 권고를 철저히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운동 프로그램 실천은 건강한 삶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담당 의사의 지도 하에 운동 및 활동 수준을 점차적으로 늘려 나가야 합니다. 새로운 스포츠 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담당 의사와 상의하십시오.
항응고제 – 특히 항응고제가 처방된 경우 약물 복용에 대한 담당 의사의 지시를 반드시 따라야 합니다. 항응고제 또는 혈액 희석제는 혈액이 자연적으로 응고되는 능력을 감소시킵니다. 항응고제 약물을 복용해야 할 경우 혈액이 응고되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주기적인 혈액 검사가 필요합니다. 이 검사는 필요한 항응고제의 양을 담당 의사가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약물의 올바른 복용량 결정에 시간이 걸릴 수는 있지만 지속적으로 담당 의사에게서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집에서 직접 검사하는 방법도 가능하며 이 옵션에 대해서도 담당 의사와 상의하십시오.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동안 현재 복용 중인 다른 약물과의 상호반응 및 섭취가 제한되는 음식에 대해 담당 의사와 상의하고 복용량이 너무 많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에 대해서도 담당 의사에게 문의하십시오.
기타 건강 정보 – 치석 제거를 포함한 모든 치과 치료, 내시경 검사 또는 수술을 받기 전에 치과 의사 또는 해당 의사에게 인공 심장 판막을 삽입한 사실을 알려야 합니다. 인공 판막 삽입 환자는 심장 손상을 더 악화시킬 수 있는 감염에 더 취약합니다. 따라서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특정 의학적 시술을 받기 전후로 항생제 투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며칠 이상 여행을 갈 경우에도 가능한 한 식생활과 운동을 일상적인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복용 중인 모든 약물(일반 의약품 포함)에 대해 담당 의사와 상의하고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용량을 변경하지 마십시오.
Please update your browser
Please update to a current version of your preferred browser, this site will perform effectively on the following:
Unable to update your browser?If you are on a computer, that is maintained by an admin and you cannot install a new browser, ask your admin about it. If you can't change your browser because of compatibility issues, think about installing a second browser for browsing and keep this old one for compatibility